1985년 이후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GDP(국내총생산), GNI(국민총소득)에 있어 5% 이상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년도는 1985~1987년(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정부)까지이며, 그 이후는 2000년, 2002년(김대중 정부), 2006, 2007년(노무현 정부), 2010년(이명박 정부) 등으로 나타났다.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GDP(a) |
0.7% |
6.5% |
3.7% |
2.3% |
2.9% |
3.3% |
2.8% |
2.9% |
3.1% |
2.7% |
GNI(b) |
2.5% |
7.0% |
1.6% |
2.7% |
3.7% |
3.4% |
6.5% |
4.2% |
3.1% |
1.0% |
b/a |
3.57 |
1.08 |
.43 |
1.17 |
1.28 |
1.03 |
2.32 |
1.45 |
1.00 |
.37 |
※ GDP 성장률보다 GNI 성장률이 더 높은 것이 정상적인 경제 흐름이며, 이 비교 지수(a/b)가 1.0 이하면, 국가 경제는 성장하나 실질적인 각 국민의 소득은 더 나빠지고 있음을 보여 주는 지표다.
‘국민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GNI를 지난 10년간(2009년~2018년) 추세를 보면, 2018년은 1.0%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지난 10년 동안 가장 낮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2019년부터 2018년까지 이 지표를 보면,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11년 △0.43을 기록한 이후 2018년은 ▲0.37로 국가 경제는 성장했으나, 국민 소득은 상대적으로 늘어나지 않아 국민생활이 더 나빠지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현재 2019년 GDP 성장률을 한국은행, KDI, S&P 등 연구기관들이 대부분 2.2%로 추정하는 것을 감안할 때, 2019년 GNI가 0.9~1.2% 정도 성장률로 추정되어 계속해서 국민의 실질적 소득은 더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