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육청 공무원 응시생 사망사건과 관련해 면접 편의와 특혜를 청탁한 전 간부에게 무죄? 부산지법 형사17단독(목명균 판사)은 5일 위계공무집행방해 등의 혐의로 전 교육장 A 씨와 전 교육청 간부 B 씨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A 씨는 2021년 부산교육청 지방공무원 임용시험을 볼 예정이었던 사위를 합격시키고자 평소 알고 지내던 B 씨에게 부정 청탁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어 B 씨는 면접관에게 기출 문제를 알아봐달라며 면접 평가를 공모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앞서 검찰은 이들에게 각각 징역 2년을 구형했다. 면접 부정을 이끈 면접관은 A 씨의 사위를 포함한 특정 지원자 2명에게 면접 최고점을 몰아줘 합격시킨 혐의가 인정되면서 지난해 대법원에서 징역 1년을 확정받았다. 숨진 공시생은 필기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합격 통지를 받았다가 최종 불합격으로 고지가 번복됐다. 그러나 목 판사는 "검사가 제출한 증거만으로 면접관이 피고인에게 문제를 사전에 유출했다고 인정하기 어렵다"라며 "당시 청탁을 위한 통화를 나눈 시간은 57초에 불과해 시간적 여유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또한 "면접관이 징역형을 선고받은 판결에서 단독 범행을 했다고 판시했다"라며 "
김용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은 지난 6일 국회에 나와 최근 직무 배제 조치된 선관위 채용 특혜 입사자 10명을 정상 근무하게 방치하다 여론의 뭇매를 맞고 나서야 이들을 수사 의뢰하겠단 입장을 내놨다. 부산시교육청 9급 공무원 임용시험에서 합격 통보를 받았지만 채용비리 입사자에 밀려 최종 탈락한 응시생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례도 있을 정도다. '아빠 찬스' 몰랐어도 해고가 정당하다는 판례도 있다. 대법원은 2020년 8월 채용비리 입사자를 직권면직 처리한 강원랜드 조치가 정당하다는 원심 판단을 유지했다. 채용비리 입사자가 채용 청탁 사실을 알지 못한 경우에도 부정행위에 의한 입사로 볼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원심에선 "(지원자 자신이) 부정행위 사실을 알지 못했다고 해도 공정하게 선발된 자로 평가될 수 없는 경우엔 그 역시 부정행위에 의한 것"이라고 판시했다. 이어 "선발 절차가 정상 진행됐다면 합격할 수 없었지만 자기소개서 점수 상향 조정 등으로 합격한 것은 내부 청탁 대상자로 관리됐기 때문"이라며 "비록 (당사자가) 추천 사실을 구체적으로 알지 못했다고 해도, 청탁으로 인해 이뤄진 부정행위 이익을 받아 불공정하게 선발된 이상 부정사실이 발견됐
BlindHire와 건강보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2025년 주요 대학교 졸업생들의 평균연봉 현황은 서울대 1억314만원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2위 성균관대 8,864만원, 3위 연세대 8,840만원, 4위 서강대 8,709만원, 5위 고려대 8,643만원, 6위 한양대 8,259만원, 7위 아주대 8,017만원, 8위 경북대 7,593만원, 9위 인하대 7,563만원 10위 부산대 7,496만원 등 으로 나타났다. 여자대학교 중 이화여대는 20위 6,641만원, 숙먕여대 41위 5,235만원으로 총 46개 대학 중 2곳만 순위에 진입했으며, 교육부가 전액 지원하는 국립대와 사립대로 분류하면, 국립대가 12개교로 전체 46개 대학 중 의 26.1%를 자지하고 있으며, 상위 10위권 대학 중 국립대는 서울대가 1위, 경북대 8위, 부산대 10위로 나타났다. 대학별 연봉 데이터는 취업시장에서 각 대학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고3 학생이나 그들의 부모가 대학을 선택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BlindHire #건강보험 #평균연봉 #취업시장
2025년도 서울대 재학생 합격자 순위 학교 재학생 지역 학교 재학생 지역 학교 재학생 지역 외대부고 43 경기 용인 민사고 17 강원 횡성 강서고 13 서울 양천 대원외고 39 서울 광진 고양국제고 17 경기 고양 동화고 13 경기 남양주 하나고 27 서울 은평 중동고 16 서울 강남 양서고 12 경기 양평 휘문고 27 서울 강남 삼성고 16 충남 아산
교육부는 3월 6일(목) ‘2025~2026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기본계획’을 확정‧발표했다.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은 대입전형과 고교교육 간 연계 확대, 대입 공정성 강화 등 대입전형 운영과 관련한 대학의 사회적 책무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2014년부터 시작되었고, 올해는 4주기 사업으로 80개 내외 대학을 신규로 선정하여 2년간 지원한다. 이번 2025~2026년 사업은 기본 사업과 자율공모사업으로 구분·실시되며 기본사업 외에 자율공모사업(선택)을 추가 수행하는 16개 내외 대학에는 예산 지원(인센티브)을 통해 대학별 특성에 맞는 분야별 선도 모델을 발굴·확산하며, 총 80개교 내외 선정하고 2025년 기준 58,533백만원 지원한다 기본 사업 대상은 80개교로 대입전형 운영을 통한 고교교육지원 및 사회적책무성 확보 등 사업으로 총 52,100백만 원의 예산이 책정되었고, 자율공모사업(선택)은 대학별 특성에 맞는 분야별 선도모델 발굴 및 성과확산 16개교 5,709백만 원이 지원된다. 그러나 교육부의 이 사업 정책에 대한 예산지원이 이 ‘과연 선정 대상 학교가 대입전형 운영과 관련한 사회적 책무 수행을 하겠느냐?’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이
2024년 초등과학교육 제43권 제4호에 게재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논변 생성 수업 적용(학생의 자기 주도적 수업)이 과학적 의문생성력을 높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과학적 의문생성력 효과에 대해 학생의 과학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학생들이 지식이 많은 학생들보다 질문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논변 생성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학업 성취도와는 관계가 없으며, 과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논변생성 수업은 학생들에게 과학에 대한 의문점은 주고 있지만, 요즘 진보 교육감들이 주장하는 상호작용 수업(자기주도적 수업)이 과학과목 학업성취도나 과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비효율적 수업 방법인 것으로 밝혀 졌다. 따라서 전통적인 학습방법인 과학지식의 교육과 이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만이 초등학교에서 과학수업이 학생들을 위한 교육방법이라고 해석된다.
학 교 합격 지 역 구 분 학교 합격 지 역 구 분 외대부고 56 경기 용인시 자사(전국) 운정고 22 경기 파주시 자공고(비평준) 대원외고 52 서울 광진구 외고 상문고 22 서울 서초구 일반(특구) 휘문고 42 서울 강남구 자사(전국, 특구) 민사고 20 강원 횡성군 자사(전국) 낙생고 39 경기 성남시 일반고(특구) 고양외고 19 경기 고양시 외고 세화고 38
그리움은 구름이라고 달아 달아 보름달아 님에게도 비추는 달아 그리움 담아 둥근 달에 지나는 구름에 편지를 띠운다 님에게 보내달라고 님도 보름달 보며 그리워하겠지 구름 따라가자고 그리움은 구름이라고 김우현(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