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8 (화)

  • 맑음파주 3.9℃
  • 맑음서울 4.3℃
  • 맑음인천 4.0℃
  • 맑음원주 3.2℃
  • 맑음수원 4.3℃
  • 맑음청주 4.9℃
  • 맑음대전 5.4℃
  • 맑음대구 6.4℃
  • 구름조금전주 5.6℃
  • 맑음울산 5.6℃
  • 맑음창원 7.6℃
  • 구름많음광주 6.7℃
  • 맑음부산 8.5℃
  • 맑음목포 6.6℃
  • 흐림제주 10.8℃
  • 맑음천안 4.5℃
  • 맑음경주시 5.6℃
기상청 제공

뉴스

서울시교육청 ‘디지털 배지’, 아시아퍼시픽 오픈배지 어워드 금상… AI‧디지털 연수 국제적 혁신 인정

서울시교육청(교육감 정근식)이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 도입한 ‘디지털 배지’가 국제 무대에서 혁신 사례로 공식 인정받았다. 교육청은 해당 시스템이 11월 17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2025 아시아퍼시픽 오픈배지 어워드」 교육기관 부문에서 금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배지(Digital Badge)’는 학습 이력과 경험을 시각화된 데이터로 인증해 공유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의 역량 증명 방식이다. 기존 종이 증명서가 가진 공개·활용의 한계를 극복해, 기술·지식·경험을 표준화된 형태로 기록·확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 아시아 88개 기관 경쟁… 모든 심사항목 ‘최고 점수’

 

올해 시상식에는 아시아 지역 88개 기관과 기업이 참여했으며 국제표준 ‘오픈 배지 3.0’ 기반의 학습·역량 기록 사례들이 출품됐다. 이 가운데 서울시교육청은 교육기관 부문 최고상인 금상을 받았다.

 

일본·한국·호주·싱가포르 등 7개국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은 △배지 설계의 혁신성 △확산 가능성 △사회적 임팩트 △기술적 신뢰성 등 모든 평가 항목에서 서울시교육청에 최고점을 부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교육청 관계자는 “AI·디지털 전환에 맞춘 교원 연수 체계가 국제 기준에서도 우수성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 발급 2,300개 → 5만 2,700개… 기초 단계만 90%

 

서울시교육청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디지털 전환에 대응해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강화 정책을 지속 추진해 왔다. ‘디지털 배지’는 2023년 7월 도입 이후 빠르게 확산됐으며, 발급 건수는 2023년 2,301개에서 2024년 52,722개로 20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기본 단계 배지가 47,520개로 전체의 90%를 차지해, 학교 현장에서 기초 디지털 역량을 갖추려는 수요가 크게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기본–활용–심화–전문가… 4단계로 교원 역량 시각화

 

디지털 배지 체계는 교원 연수를 △기본 △활용 △심화 △전문가 4단계로 구조화하고 단계별 성취를 배지로 시각화한다. 또한 ‘디지털 이해’, ‘디지털 시민성’ 등 10개 역량 기준에 따라 맞춤형 배지를 운영해, 교원 개개인의 디지털·AI 역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 “국제적 수준의 디지털 전환 정책임을 입증”

 

교육청은 이번 수상을 계기로 디지털 배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교원 맞춤형 연수 체계를 더욱 정교화하고, AI·디지털 역량 강화 로드맵도 새롭게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전국 시·도교육청과 우수 사례를 공유해 교육 현장의 디지털 전환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이번 금상은 서울교육의 디지털 전환 정책이 국제적 수준임을 입증한 성과”라며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강화가 실제 학교 교육의 변화로 이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