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07 (화)

  • 맑음동두천 6.5℃
  • 구름조금강릉 9.8℃
  • 서울 6.7℃
  • 구름많음대전 10.1℃
  • 구름많음대구 13.0℃
  • 맑음울산 13.1℃
  • 구름많음광주 12.2℃
  • 맑음부산 13.1℃
  • 구름많음고창 11.2℃
  • 구름많음제주 15.9℃
  • 구름많음강화 7.9℃
  • 흐림보은 8.1℃
  • 구름많음금산 9.8℃
  • -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2.9℃
  • 맑음거제 12.7℃
기상청 제공

경제스토리

"남북평화경제"로 일본을 정말 이길 수 있나?

남북 경제공조, '일본과 경제 격차를 더 벌릴 가능성 높아...

 

 

인구

(천명)

명목GDP

($)

국제수지

($)

상품수출

($)

상품수입

($)

서비스 수출($)

서비스 수입($)

대한민국

51,635

16,194

764

6,235

5,136

991

1,288

일본

126,529

49,709

1747

7,357

7.245

1,937

2,009

경제격차

-74,894

-33515

-983

-1,122

-2,109

-946

-721

(자료: 한국은행)

 

 2018년 기준으로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추계인구는 일본이 12,653만 명으로 우리나라보다 △7,489만 명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는 국내경제성장에 핵심적으로 영향을 주는 변수로 인구가 1억 명이 넘을 경우 유가폭등, 원자재 폭등 등 글로벌 경제위기 시 국내 경제활동만으로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 경제학의 일반적 견해다.

 

명목 GDP의 경우 우리나라는 일본보다 ▽-33,515$ 차이가 나며, 국제수지는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983$ 더 흑자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는 상품수출이 6,235$로 일본보다 -1,122$ 차이가 나고 있으며, 서비스수출은 991$로 일본대비  -946$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 서비스 수출과 수입 항목은 지적재산권, S/W, 관광비, 유학비 등을 포함한다. 

 

국가

인구

명목GDP

국제수지

상품수출

상품수입

서비스 수출

서비스 수입

북한(A)

25,132

310

-23.6

2.4

26.0

-

-

북한+대한 민국(B)

76,767

16,504

740.4

6237.4

5162

991

1288

일본(C)

126,529

49,709

1747

7,357

7.245

1,937

2,009

B-C

-49,762

-33205

-1006.6

-1119.6

2083

-946

-721

(자료: 한국은행)

 

북한과 경제 공조는 '일본을 이기는 데' 전혀 도움이 안 돼....

 

정부에서 강조하는 북한과 경제공조를 하는 『남북평화경제』 추진 시, 우리나라 인구는 총 7,667.6만 명으로 증가하나, 명목 GDP는 인구증가에 비해 겨우 310$밖에 증가를 보이지 못해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핵심되는 1인당 GDP에 마이너스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본과 비교시, 일본은 1인당 GDP가 39,296$이 되지만, 우리는 21,499$로 오히려 현재 3만$보다 1만불 정도 하락해 격차가 더 심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무역수지 흑자 폭도 감소하고, 수출보다는 수입량이 더 크게 늘어 일본과 국제수지 흑자 격차를 오히려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관계 전문가에 의하면, 『남북평화경제』 추진에서 개성공단 및 금강산관광 재개 등을 이에 포함 시킨다면 『북한제재 유엔결의안』에 위반이 되며, 이를 정부가 유엔의 허락없이 추진할 경우 더 역효과가 날 수 있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 

 

#남북평화경제 #반일 #극일 #북한 #북한GDP #한일경제격차 #반일운동

 


참교육

더보기
기회평등학부모연대, 시민단체 활동가 역량강화 아카데미
10월 30일, 광화문 변호사회관 10층에서 기회평등학부모연대가 서울시 공익활동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전문가 양성 아카데미를 개최하였다. 이날 아카데미는 (사)서울사립교장회 서울교육연구원 회원들 4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주제는 교육부가 발표한 "2028 대입제도 개편시안"과 학교 현장의 고교학점제 시행경과 사이에 일어나는 혼란에 대해 어떻게 학부모와 교사들을 설득하고 방향을 정립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이 진행되었다. 발제는 경신고등학교 김창묵 교사가 "대입제도 개편에 따른 고교학점에 시행 전망'으로 발표하였고, 토론자로는 동국대부속 영속고등학교의 김용진 교사, 청원여고의 박문수 교사, 문영여고의 이영발 교사가 맡았다. 이날 좌장을 맡은 서울교육연구원 미래교육위원장인 조효완 교수는 이번 교육부의 2028 대입제도 개편안은 고교학점제를 무력화하게 될 것이며 이에 따른 학교현장의 혼란을 여기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하였다. 서울교육연구원은 서울지역 사립학교 전직 교장선생님들로 이루어진 사단법인으로서 학교교육 발전을 위한 여러 분야의 활동을 해오고 있으며 초대 이사장은 진영남 전 용문고 교장 선생님이다.

참 아카데미

더보기
이제는 "지난 정부의 획일적 평등정책을 바로잡아야 한다"
지난 5월 17일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정경희의원 주체, 바른사회시민회의, (사)바른아카데미, 미래교육자유포럼 주관, 자유기업원 후원으로 교육개혁 방향에 대한 세미나가 개최했다. 이날 김경회석좌교수(명지대)는 "바람직한 교육개혁의 방향과 과제” 발제에서 교육개혁의 지향점으로, 다섯가지 원칙을 제시하며, 첫째, 학력과 인성을 키우는 교육 본질의 회복. 둘째, 교육에서 자유도 높이기. 셋째, 공정한 경쟁을 톻한 실력주의 확립. 넷째, 교육의 다양성, 다섯 번째, 수월성 교육을 통한 세계 일류 인재 양성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정부의 획일적 평등주의 정책부터 바로 잡아야 한다고 지적하며, 첫째, 시험・숙제・훈육 없는 3무 혁신교육 폐지와 학력중시 정책으로의 전환. 둘째, 초중등교육법시행령 개정하여 자사고 외고 존치와 자율 확대. 셋째, 문재인 정부의‘사학 공영화’정책 철회와 사학의 자주성 보장으로 전환. 넷째, 올바른 역사교육, 다섯째, 유명무실해진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대로 실시할 것을 강조했다. 학교선택제・대입자율화・교직사회 혁신을 3대 핵심 제도개혁과제로 삼고 낡은 교육제도를 선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첫째, 고교평

PHOTO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