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맑음파주 3.4℃
  • 맑음서울 4.7℃
  • 맑음인천 6.1℃
  • 맑음원주 3.5℃
  • 맑음수원 5.4℃
  • 맑음청주 5.9℃
  • 맑음대전 7.0℃
  • 구름조금대구 7.1℃
  • 맑음전주 6.8℃
  • 맑음울산 7.0℃
  • 맑음창원 8.9℃
  • 구름조금광주 7.2℃
  • 맑음부산 8.3℃
  • 맑음목포 8.0℃
  • 구름조금제주 9.5℃
  • 구름많음천안 5.8℃
  • 맑음경주시 7.4℃
기상청 제공

바른시민교육

이북출신 김영석(91)·양영애(83)씨 부부, 고려대에 장학금으로 400억의 아름다운 기부

김영석(91)씨는 광복후 혼자 북한을 탈출한 미수복강원도 평강 출신으로 알려져...

 

오늘자 조선일보 사회면에는 우리나라 사회의 훈훈하고 아름다운 미담기사가 실려있다. 본지는 이러한 아름다운 기부를 장려하기 위해 조선일보 기사를 요약하였다.  요즘 어르신들을 등한시함은 물론 부자들을 폄하하고 적대시하는 우리사회에서 두 노부부의 행동은 후세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어 나가야할 노블레스오블리제의 진정한 표본이다. 

 

"해방후 혼자 월남한 김영석 할아버지 부부, 가난을 극복하고 부자로 살다."

 

서울 강남도 아닌 동대문구 청량리동에 사는 김영석(91)·양영애(83)씨 부부는 1960년 손수레 노점으로 시작하여 30여년간 서울 종로5가에서 교통비를 아끼려 매일 새벽 한 시간씩 걸어 도매시장에서 과일을 떼와 팔았다고 한다. 밥은 노점 근처 식당 일을 도와주고 얻어먹는 해장국으로 해결한 근검 절약의 표본으로 살아 왔다. 

 

초등학교 졸업장도 없는 북한 미수복 강원도 평강 출신인 김씨는 광복 후 혼자 월남해 남의 집 머슴살이를 했다. 경북 상주 출신인 아내 양씨도 6·25로 피난 다니며 떨어진 사과를 주워다 팔았으며, 과일 장사로 번 종잣 돈에 대출을 보태 1976년 청량리 상가 건물을 한 채 샀다. 주변 건물을 하나씩 사들일 때도 부부는 남들이 내놓은 옷을 얻어다 입을 정도로 재산을 모았다.  자식들이 해주겠다던  환갑, 칠순, 팔순 잔치도 마다했다고 한다.

 

두 부부가 이렇게 마련한 청량리 일대 땅과 건물 여덟 채를 지난 25일 고려대에 기부하기로 결정했으며, 고려대는 "시가로 400억원 가치"라고 했다. 아내 양씨는 "평생 돈을 쓰고 살아본 적이 없어서 어디에다 써야 할지 몰랐다"고 했다. "큰 돈이니 큰 데다 써야겠다고 생각해 대학에 다 기부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그동안 부부는 지금까지 어디에 기부를 해 본 적이 없다고 한다고 하면서 "장사하고 땅 사고 건물 사느라 얻은 빚 갚느라 현금을 쥐고 있을 새가 없었다"고 했다. 

 

고려대는 노부부 뜻에 따라 기부받은 건물과 토지를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 등으로 쓰겠다고 밝혔다. 양 할머니는 "평생 '노랑이(구두쇠)' 소리 듣던 나 같은 밑바닥 서민도 인재를 기르는 데 보탬이 될 수 있구나 하는 생각에 정말 기뻐요."라고 했다고 한다. 정말 아름답고 존경스러운 큰 어르신이다. 

 

"부모님의 뜻을 자식들도 모두 동의... 훌륭한 부모 밑에 훌륭한 자식이 있다"

 

고려대에 기부하기로 한 데는 아들 영향도 있다고 한다. 큰 아들 김경덕(58)씨는 고려대 토목공학과 79학번으로 부부의 집과 가까운 고려대가 잘 돼 이웃 상인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다는 생각도 있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사는 두 아들도 부모 결정에 동의했다고 한다.

 

아들들은 20대에 미국으로 건너갔다. 양씨 할머니 말에 의하면, "다들(아들) 쉰 살이 넘었고, 집도 한 채씩 장만했으니 부모 도움 없이도 살 만한 수준이 됐다"고 했다. 김씨 부부 거실에는 가족사진이 걸려 있고 큰 손자의 미국 예일대 법대 졸업식 사진이 놓여 있으며, 미국 뉴욕에서 변호사로 일하고 있다고 했다. 

 

"근검절약의 표본... 빚내어 외제차 사고, 해외여행 가는 젊은 세대는 본 받아야..."

 

부부의 아파트에 있는 소파와 장롱은  40년 전 양씨가 언니에게서 얻은 것이고, 장롱은 부부가 40년 전 서울 종로 파고다가구점에서 장만한 '생애 첫 옷장'이라고 했다. 그 전까지는 옷을 종이 상자에 넣어 보관했다. 요즘 세태로 기준하면 400억 재산가이면 당연히 있어야 할 고급 자가용도 없다고 한다. 

 

6년째 부부의 집에서 집안일을 돕는 이옥희(58)씨의 말에 의하면 "두 분 모두 쓰고 난 비닐봉지 한 장도 함부로 버리지 못하게 하신다"고 했다. 양 할머님이 입은 라운드 티셔츠는 30년, 바지는 20년 된 것이라고 했다. 거실에는 옷이 든 종이 상자에 나중에 입으려고 다른 사람에게 얻어 온 것으러 가득하다는 것이다.

 

"이웃을 아끼는 진정한  benebolence를  실현"

 

노부부 소유 건물에는 카페와 식당 등 점포 20여개가 입주해 있다. 임대료를 크게 올리지 않아 대부분 20년 이상 장사를 하고 있다고 한다. 1977년부터 노부부의 건물에서 족발 가게를 운영해 온 이00씨(76세)는 "40년 넘게 봐 왔지만 화려하게 옷을 입거나 화장한 모습을 단 한 번도 본 적이 없다"고 했다. 이씨는 "청량리에서 임대료 갈등 없이 상인들이 한자리에서 이렇게 오래 장사한 건물은 여기 밖에 없다. 존경스러운 건물주"라고 했다.

 

보다 상세한 기사 내용는 아래 조선일보 주소로 검색하시면 됩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26/201810260022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