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1.08 (일)

  • 맑음동두천 0.2℃
  • 맑음강릉 9.3℃
  • 황사서울 2.8℃
  • 맑음대전 5.0℃
  • 맑음대구 5.2℃
  • 맑음울산 7.5℃
  • 황사광주 5.4℃
  • 맑음부산 10.9℃
  • 맑음고창 6.7℃
  • 맑음제주 13.0℃
  • 구름조금강화 1.3℃
  • 맑음보은 2.7℃
  • 맑음금산 3.9℃
  • 맑음강진군 7.8℃
  • 맑음경주시 8.2℃
  • 맑음거제 6.7℃
기상청 제공

조영달교수, "외고와 자사고 존립은 교육의 다양성을 위해 꼭 필요하다"

"선거법에 맞춰 고교 3학년에서 2학년으로 1년 축소하자"

조영달 서울대 사회교육과 교수(전 사범대학장) 10일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교육체제 혁신과 인재혁명'이라는 주제 하에 "교육문제를 해결하려면 대혁신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의 대대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혁신 방향으로 조 교수는 “서울과 수도권의 2-30여개 대학, 지방의 10여개 거점 국립대학의 학부를 일부(이공계 중심으로 대학원 진학을 위한 정원, 2-30%)만 남기고 폐지한다. 학부 정원이 대폭 축소된 대학은 대학원의 정원을 크게 늘여 “대학원 중심 대학화하면서 현재의 지능정보사회에서 전문지식사회 거점 역할을 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조 교수는 “대학원 중심대학으로 전환하는 대학들은 학위와 자격증을 중심으로 줄어든 학부 정원만큼 제3세대인 신중년, 50-69세, 인구의 30%와 산업계를 우선으로 하고 일반 시민을 포함하여 전체 시민에게 개방하여 지능정보사회의 국민 학습역량 강화에 기여하는 평생교육 체계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조 교수는 대학교육의 혁신방향에 이어 초중등 교육에 대해서는 4가지 개혁안을 제시했으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대학진학과 직업교육을 병행하는 개별 맞춤형 진로교육을 중점으로 하는 미래형 고등학교(현 특성화 고교)의 획기적인 시스템 변경이 필요하다. 또한 고교 수업 년한을 현재의 3년에서 2년으로 그 축소를 적극 논의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를 고등학교 3학년에 해당하는 18세 연령에 선거권이 주어져 있어 현재의 학제를 그대로 유지함에는 교육의 정치중립성에 비추어 부조화가 예측된다. 

 

둘째,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 선택을 다양화하기 위해 외고/자사고 등의 존속해야 하며, 그 활성화는 교육부나 교육청이 간섭하지 말고 학교의 의사에 맡겨져야 한다.

 

셋째, 대학 입학전형을 대학의 자율에 맡겨야 한다. 국가는 국가 보통교육과정에 의거한 최소 수준의 평가를 통하여 고등학교 졸업 자격(이는 동시에 대학입학 자격)을 확인만 하면 된다. 대학은 고등학교의 (a) 개별학생에 대한 모니터링 기록, (b) 국가 (대학입학)자격 고사, (c) 대학 자체의 선발 전형이라는 3가지를 입학전형 자료로 사용하면 된다.

 

넷째, 초·중등 교육은 기초학력과 인성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대학입시 전형의 간소화 표준화에 의해 사교육의 필요성이 소멸하게 됨에 따라 이들 학교 급에서는 본래의 교육과정인 기초학력증진과 인성교육 강화에 더욱 치중할 수 있다.

 

이날 조영달 교수가 발표된 원고 전문은 본보 '바른도서관'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조영달교수 #서울대 #호암교수회관 #외고 #자사고 #기초학력 #인성교육 #정치중립성 


참교육

더보기
이종태 서울시의원 “서울시교육청의 IB 도입, 더 진솔한 자세로 의회 설득하길”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종태 의원이 서울시교육청을 향해 쓴소리를 내 놓았다. 2023년도 예산안 중 인터내셔널 바칼로레아(International Baccalaureate) 관련 예산 26억 8,500만원이 전액 삭감된 사실과 관련하여 서울시교육청의 진솔하지 못한 자세를 질타한 것이다. 이종태 시의원은 서울시교육청이 그동안 추진했던 혁신학교를 통한 교육과정 혁신에 별 성과가 없었음을 인정하고 '교육과정 다양화지원 사업'이 IB 도입을 위한 연구탐색 사업임을 명확히 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조희연 교육감의 혁신학교 정책이 교육과정에 있어서 한계에 도달했음을 숨기려다가 발생한 해프닝으로 있어서는 안될 일이라고 지적한 셈이다. 이어서 이 의원은 IB도입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서울시교육청이 더욱 적극적인 예산을 편성하여 의회를 설득할 것과 신속한 추경을 통해 사업일정이 늦추어지지 않도록 할 것을 주문하였다. 이종태 시의원의 보도자료 전문은 아래와 같다. 경기도교육청 임태희 교육감은 신년기자회견에서 “경기형 IB”를 도입, 국제가 공인한 창의적인 인재를 기르겠다“며 경기교육의 대 변화를 예고했다. 대한민국 초·중등 교육과정 혁신은 무엇보다도 시급한 과제이고 근

참 아카데미

더보기
조희연 교육감, 70여개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수준의 지원계획 밝혀
14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에서 개최된 '특성화고 활성화 방안 마련 정책토론회'에 참석한 조희연 교육감은 "서울시 소재 70개 특성화고를 '서울형 마이스터고'로 만들기 위한 계획을 성안하였다"고 밝히고 "이 계획에 따라 모든 특성화고에 마이스터고 수준의 지원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희연 교육감은 "서울시교육청의 두가지 주요 핵심정책을 꼽자면, 일반고가 고교교육의 중심이 되게 하여 일반고 전성시대를 이루는 것과 특성화고 지원을 강화하여 활성화하는 것이다. 특히 특성화고 활성화에 대해서는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 왔으나 그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한 것 같다"라며, 서울형 마이스터고 추진계획이 거의 완성되었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심미경 의원(동대문2) 주관으로 14일 의원회관 제2대회의실에서 개최되었으며, 김현기 시의회의장, 이승미 교육위원장, 최호정 국민의힘 원내대표,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축사자로 참석하였다. 이희원 의원의 1부 사회를 맡았고 심미경의원은 2부 좌장을 맡아 토론회를 진행했다. 발제자인 이상종 교장(광운인공지능고)은 직업계고등학교 졸업생의 대학입학시 정원외특별전형 확대, 대기업, 공기업 등으로 진출을 위한 국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