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맑음파주 6.7℃
  • 맑음서울 6.9℃
  • 맑음인천 7.7℃
  • 구름조금원주 6.4℃
  • 맑음수원 7.6℃
  • 구름조금청주 7.9℃
  • 맑음대전 8.9℃
  • 구름많음대구 8.1℃
  • 구름많음전주 8.0℃
  • 맑음울산 8.2℃
  • 맑음창원 10.6℃
  • 구름많음광주 9.0℃
  • 맑음부산 8.9℃
  • 맑음목포 8.9℃
  • 구름조금제주 10.7℃
  • 맑음천안 7.3℃
  • 맑음경주시 8.8℃
기상청 제공

교육

교육부, 이번 학기부터 고교 전학년 무상교육 실시. 교과서 구입대금도 포함...

KEDI는 '사교육비', 교육부는 '공교육비' 때문에 교육격차가 난다는 상반된 발표

"교육부는 공교육비, 한국교육개발원는 사교육비 때문에 교육격차가 난다"는 상반된 주장 발표...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지난 2월 28일 2019년 2학기부터 고3을 대상으로 시작하였던 고등학교 무상교육이 2021년 새 학기부터는 전 학년을 대상(124만 명)으로 확대 실시된다고 밝혔다.

 

고등학교 무상교육은 기존에 납부하던 ①입학금, ②수업료, ③학교운영지원비, ④교과서비의 네 가지 학비를 정부에서 지원한다. 그 동안 2019년 2학기 고 3학년(49만 명), 2020년 고 2‧3학년(85만 명)에게 무상교육을 실시한 바 있다.

 

그러나 관련 법령에 따라 수업료와 기타 납부금을 학교의 장이 정하는 일부 사립학교(2020년 말 기준, 94개교)에 재학 중인 학생은 무상교육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교육부는 이번 무상교육으로 인해 "초‧중‧고 교육에서 가정환경‧지역‧계층의 소득격차에 따른 교육격차를 해소한다"고 했다.

 

그러나, 지난 2월 24일 한국교육개발원(KEDI: 원장 반상진)이 발표한 조사에 의하면(2500명 웹조사) ‘교육격차(교육양극화) 원인이 사교육 차이 때문에 발생한다.’고 발표했다.

 

교육계에서는 ‘고교무상교육이 교육격차를 해소한다.’는 교육부 발표는 KEDI 발표와 정면으로 상치된 주장으로 국민을 더 혼란스럽게 만든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