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2017년까지 대한민국과 북한 인구 100명 당 이동전화 가입자는 대한민국이 ▲2014년 111명, ▲2015년 114명, ▲2016년 116명, ▲2017년 124명이었다. 반면에 북한은 인구 100명 당 ▲2014년 12명, ▲2015명 13명, ▲2016면 14명, ▲2017명 15명으로 매년 1대씩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국민은 2017년을 기준으로 할 때, 1인당 1.24대를 보유하여 전국민 이동전화 시대에 돌입한 반면, 북한은 소득상위 상위 15%만이 이동전화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나 특권층만 이동전화 혜택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이동전화 소유가 특권층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1990년말과 이동전화 가입자 수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른사회시민회의는 11월 23일 "민주노총은 25일로 예고한 총파업 집회를 당장 철회하라:" 성명서를 발표했다. 바른사회시민회의는 이날 성명서에서 정부가 코로나19 신규확진자 300명 급증에 대해 거리두기 상향조정했지만, 민주노총은 이를 무시하고 전국 10만명의 집회를 예고했다고 하면서,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 12월 3일 대학수능이 예정되어 있는 시점에 자신들의 사익을 위해 수험생믄 물론 국민들의 안정을 위협하는 반 사회적 행위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아래는 이날 발표한 성명서 전문이다. <성명서 전문> 24일부터 수도권은 2단계 거리두기, 호남권은 1.5단계 거리두기로 격상된다. 최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00명대로 급증하면서 정부가 거리두기 단계를 상향조정 했지만 일각에서는 정부의 선제적 대응이 늦은 감이 있고 그 조치가 느슨해 상황을 악화시켰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특히 다음달 3일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이 예정되어 있어 지금의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상황이 이러한데도 불구하고 민주노총은 25일 총파업과 집회를 예고했다. 민주노총은 정부가 추진 중인 노동조합법 개정 저지와 노동자 권익 강화를 위한 자칭 ‘전태일 3법’ 입
207년 기준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국내 생산량은 대한민국이 총 1,691,000톤이었으며, 그 중 소고기가 239,000톤, 돼지고기 894,000통, 닭고기 558,000톤 이었다. 수입량을 포함하면, 총 2,506,000톤 이었으며, 그중 소고기가 583,000톤, 돼지고기 1,263,000톤, 닭고기 660,000톤이었다. 반면에 북한은 총 172,000톤으로 소고기가 22,000톤, 돼지고기 119,000톤, 닭고기 31,000톤 이었다. 국내 생산량을 국민이 모두 소비했다고 추정하면, 대한민국은 국민 1인당 년 33.2kg을 소비하였고, 그 중 소고기는 4.7kg, 돼지고기 17.5kg, 닭고기 10.9kg을 소비했다. 수입물량을 포함하면, 총 고기소요량은 국민 1인당 49.1kg을 소비했으며, 그중 소고기는 11.4kg, 돼지고기 24.8kg, 닭고기 12.9 kg을 소비했다. 반면에 북한은 국민 1인당 소고기 0.9kg, 돼지고기 4.8kg, 닭고기 1.2kg을 소비했다. 상기 통계를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1인분에 200g, 닭고기(5호)는 1kg을 기준으로 할때, 대한민국은 1년에 국민 1인당 57회, 돼지고기 124회, 닭고기는 12.9
"북한에 『혁명학교』가 있다면, 대한민국엔 『혁신학교』가 있다." 2018년 기준 대한민국 중등학교 교육체계는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이며, ▲유치원은 6세 미만으로 나타났다. 고등교육기관인 대학교육은 ▲전문대학이 2~3년, ▲단과대학 및 종합대학은 4~6년(건축학과, 의학과 등)이며, ▲대학원 석사과정은 2년, ▲박사과정은 2~3년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북한은 ▲소학교(초등학교)는 5년, ▲초급중학교(중학교) 3년, ▲고급중학교(고등학교) 3년이며, ▲유치원은 1년으로 만 5세로 나타났다. 고등교육기관인 ▲고등전문학교(전문대학)이 2~3년, ▲단과대학 및 종합대학은 3~6년, ▲연구원(석사과정)은 3~3.5년, ▲박사원(박사과정) 2~3년으로 나타났다. 중등학교 교육체계로 특목고는 대한민국이 예술고, 체육고, 외고는 각 3년으로 일반고와 동일하고 , 북한은 예술학원과 외국어학원(대한민국 중학교와 고교 통합)은 각 11년이다. 북한은 정치학교인 『혁명학교』는 9년(초등학교~고등학교)이며, 우리나라 『혁신학교』(초,중,고 합산 12년)보다 3년이 적지만, 교육시스템의 연속성인 측면으로 볼 때, 북한 혁명 주체세력의 리더로 키우는 것으로
2018년 기준 대한민국은 ▲서비스업(제3,4차산업)이 60.9%로 국가의 주력산업이며, 그 다음은 ▲광공업(제조업) 29.2%, ▲건설업 5.9%, ▲전기·가스·수도업 2.0%, ▲농림어업이 1.9%로 나타났다. 반면에 북한은 ▲서비스업이 33.0%, ▲광공업 29.4%, ▲농림어업 23.3%, ▲건설업 8.9%, ▲전기가스수도업이 5.4%로 나타났다. 따라서 북한의 산업구조는 대한민국의 1970년대 후반의 산업구조와 비슷해, 지난 30년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한 산업구조를 총GDP와 연계하면, 대한민국 ▲농림어업이 36.2조원, ▲광공업이 556.5조원, ▲전기·가스·수도업이 38.1조원, ▲건설업이 112.4조원, ▲서비스업이 1,160.7조원이다. 북한은 ▲농림어업이 8.3조원, ▲광공업이 10.6원, ▲전기·가스·수도업이 1.9조원, ▲건설업이 3.2조원, ▲서비스업이 11.8조원이다. GDP 기준 남북한 산업구조의 격차는 2018년 기준으로 볼 때, ▲농림어업은 대한민국이 북한보다 4.3배, ▲광공업 52.7배, ▲전기수도가스업 19.7배, ▲건설업 35.2배, ▲서비스업 98.0배 더 우월한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다. 2010년~2018년 시계
대한민국 국민 1달 최저 임금과 북한 인민 1년치 임금과 같은 수준이지만, 일부 정치인은 "김정은 위원장은 계몽군주"로 치켜세우고, 일부 노조교사들은 "북한이 대한민국보다 더 잘 살고, 삶의 수준이 더 높다"고 가르쳐... 2019년 기준 대한민국의 GNI(Gross Net Incom)는 1,935조 7150억원이며, 북한은 35조 5620억원으로 대한민국 대비 1/54.4배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1인당 GNI로 보면 대한민국 국민이 1년에 3,744만원의 소득을 올린데 비해, 북한 인민은 겨우 141만원으로 벌어 대한민국의 1/26.6배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한민국 국민의 월 최저임금인 150만원을 북한 인민들은 1년 동안 벌고 있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대한민국 ▲2010년 경제성장률은 6.8% 이었으며, ▲2015년 2.8%, ▲2016년 2.9%, ▲2017년 3.2%, ▲2018년 2.9%, ▲2019년 2.0%이었으나, 북한은 2010년에 ▼-0.5%, 2015년 ▼-1.1%, 2016년 ▲3.9%, ▼2017년 -3.5%, ▼2018년 -4.1%, ▲2019년 0.4%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대한민국은 다소 증감은 있었으나
인구는 국가 경제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대한민국은 1980년 기준 총인구는 5,160만7천명, 북한은 2,513만2천명으로 대한민국이 북한대비 약 2배(26,475천명)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의 미래를 나타내는 지표인 출산율은 1985년에 대한민국은 2.92명이었으나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0년에는 1.11명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북한은 1980년 2.85명에서 2020년에는 1.91명으로 대한민국보다 출산율이 0.80명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대한민국보다 북한의 미래가 더 밝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수명은 2011년 대한민국인 남자는 77.3세, 여자는 84.0세 이었으며, 2020년에는 남자가 10년 전보다 3세가 늘어난 80.3세, 여자는 2.1년이 늘어난 86.1세로 추정하고 있다. 반면에 북한은 2011년 남자는 65.1세(대한민국 대비 12.2세 적음), 여자는 71.9세(대한민국 대비 12.1세 적음), 2020년에는 남자는 66.9세(대한민국 대비 13.4세 적음), 여자는 73.6세(대한민국 대비 12,5세 적음)로 추정하고 있다. 기대수명이 북한보다 대한민국이 높은 이유는 첫째, 대한민국 국민이 북한보다 세계 최고수준의 의료
국가 글로벌 순위 합 계 정치적 권리 (40점 만점) 시민의 자유 (60점만점) 대한민국 64 위 83 33 50 북 한 206 위 3 0 3 (자료 : 2020년 프리덤하우스) '시민의 자유'에 중점을 두고 매년 지유지수를 발표한 프리덤 하우스는 2020년도에 전 세계 210개 국가 및 지역에 대한 글로벌 자유지수를 발표했다. 프리덤 하우스 조사는 ‘정치적 권리’와 ‘시민의 자유’에 중점을 두고 있다. 13 가지 핵심 이슈에 초점을 맞추고 크게 ‘정치적 자유’와 ‘시민의 자유’를 기준으로 분석한다. 2020년도 에 발표된 자료에 의하면, 『대한민국』은 글로벌 순위 64위이며, ‘정치적 권리’는 40점 만점에 33점(100점 만점에 82.5점), ‘시민의 자유’는 60점 만점에 50점(83.3 점)으로 총 83점을 획득했다. 반면에 『북한』은 글로벌 순위 206위로 210개국 중 최하위 국가로 나타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