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는 비영리단체로 각 국가의 경제 연구와 솔루션 개발을 하는 글로벌 단체로, PERC 지수는 '경제위기에 대한 각 국가의 대응 능력'을 읨하며 100점이 만점이다. 점수가 높으면 '경제위기 관리능력'이 훌륭한 국가로 평가되며, 점수가 낮을 수록 '위기 관리 능력이 부실한 국가'로 평가된다. 2019년 PERC(PERC, Policy and Economic Research Council)에 따르면 주요 아시아국가 중 위기관리능력이 가장 잘하는 국가는 싱가폴로서 100점 만점에 89점으로 1위를 차지했고, 2위는 일본으로 80점, 3위는 홍콩으로 61점, 4위는 대만으로 55점, 그리고 대한민국은 47점에 6위를 차지하였다. 대한민국은 순위로는 6위이나 '아시아 평균 49점보다도 낮은 경제 위기관리 능력'으로 보이고 있다. 현 정부가 들어선 2017년부터 정부가 년 100조 이상 세금을 지출했지만, 국제 사회에서는 '경제위기관리 능력'에서이 지속적으로 낙제점를 받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부탄, 네팔, 북한, 아프카니스탄은 자료가 국제적인 기준에 맞지 않거나 아에 자료가 없어 경제위기관리 측정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즉 이 국가가 발표하는 통계는 국제적
무디스는 16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한국)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한국 0.2%포인트, 일본 0.1%포인트 각각 낮췄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종전의 2.1%에서 1.9%로 낮아졌다. 무디스는 중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당초 5.8%로 전망했으나 이번 보고서에서 5.2%로 크게 낮췄다. 또한, 한국은행이 27일 수정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을 2.3%에서 2.1%로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올해 1.0%, 내년은 1.3%다. 이와 함께 한은은 27일 금융통화위원회을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1.25%로 유지하기로 했다. #경제성장율 #서민경제 #무디스 #한국은행
지난 5년간 국내 기업의 해외직접 투자 신고 건수는 2014년 8,204건, 2015년 8,898건, 2016년 9,799건 2017년는 11,470건, 2018년은 12,707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4년을 100으로 볼 때, 2015년에는 108로 ▲8% 증가했으나, 2016년은 119로 ▲19% 증가 , 2017년은 140로 ▲40% 증가, 2018년은 ▲155로 2014년대비 ▲55%나 폭증하고 있다. 해외 직접투자 법인 수는 2014년에 2,811개 기업이, 2015년에는 2,901개 기업이 , 2016년에는 3,084개 기업이, 2017년에는 3,411개 기업이 2018년에는 3,540개 기업이 국내 투자를 버리고 해외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4년을 100으로 볼 때, 2015년에는 103로 △3% 증가에 그쳤으나, 2016년은 110로 ▲10% 증가, 2017년은 121로 ▲21% 증가, 2018년은 126으로 2014년대비 ▲26% 폭증세를 보이고 있었다. 해외 직접투자 금액으로 볼 때, 실 투자금액은 2014년 26,998,787천 달러이던 것이, 2015년에는 27,180,110천달러, 2016년은 34
서민은 2018년 4월부터 2019년 9월 현재까지 18개월동안 "경기가 나빠졌다"고 느껴... 지난 9월 26일 국내 여론조사기관인 갤럽에서 현재 서민들이 느끼는 경제상황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9년 9월 24~26일 이었다. 조사대상은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2명이었으며, 응답률은 1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이다. 지난 2018년부터 2019년 9월까지 '경기가 좋아졌다'고 응답한 시점은 2018년 5월 단 1개월이었으며, 그 이후로 계속적으로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응답하였다. 특히 지난 7월과 8월이 가장 경기가 나빠졌다고 응답하고 있다. 가계 살림살이의 경우도 경기전망과 마찬가지 2018년 4월과 5월 이외에는 가구당 살림살이가 더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올해 7월과 8월이 가장 나쁜 시기로 나타났다. 실업자는 2018년 4월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응답하고 있으며, 정부발표와 달리 지난 17개월 동안 전혀 개선되고 있지 않았다. 기업생산과 직결되고 국내경기 회복에 마이너스 효과를 주는 노사분쟁도 2018년4월부터 현재까지 증가할 것으로 응답되어 서민이 체감하는 노사문제가 더
1985년 이후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GDP(국내총생산), GNI(국민총소득)에 있어 5% 이상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는년도는 1985~1987년(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정부)까지이며, 그 이후는 2000년, 2002년(김대중 정부), 2006, 2007년(노무현 정부), 2010년(이명박 정부) 등으로 나타났다.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GDP(a) 0.7% 6.5% 3.7% 2.3% 2.9% 3.3% 2.8% 2.9% 3.1% 2.7% GNI(b) 2.5% 7.0% 1.6% 2.7% 3.7% 3.4% 6.
현대경제연구원 「7.26자 보고서」에 의하면, '일본에 대한 우리나라 제품 경쟁력은 '섬유의류 및 생활용품' 등 경공업 품목을 제외하고, 화학, 플라스틱 및 고무, 금속, 기계, 전기·전자부문에서 경쟁력은매우 열세에 있다고 발표했다. 이어 현대경제연구원은 우리나라 현재 주력산업의對일본 산업경쟁력은 열위를 벗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다소 경쟁력 격차는 다소 개선되고 있으나, 1~3년 정도의 단기 기간에는 격차 해소는 물론 우위도점유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일 의존도가 50% 이상의 품목 수는 253개, 90% 이상의 품목 수는 48개이며, 이들 품목들의 평균 의존도는 71.4%다. 한일관계는 최근 대법원의 미쓰비시 등 약 100년 전 일본기업에 대해 10억 징용배상 판결로 인해 한·일 외교관계 갈등으로 불거진 바 있다. 이에 반발한 일본 정부는 우리나라를 화이트리스트 제외(A급에서 B급으로 강등)국가로 지정하고 이를 법제화했다. 2019년 현재 일본과 경제 전쟁에서 우위에 있는 품목은 '섬유의류 제품'이고, 비교적 대등한 경쟁력을 가진 제품은 '생활용품' 밖에 없다. 반면에 이번 삼성전자 및 SK하이넥스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고단위 불화수소가
평균 시급,"학원·과외 강사가 10,435원으로 가장 높고, 편의점·PC방은 최저임금에미달" 지난 6월 15일 알바천국이 2019년 1월~3월 아르바이트 소득자 전국 남녀 총 3,215명의 월평균 총 소득과 근무시간을 조사·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2019년 1분기 아르바이트 평균 시급은 8,645원이고 월 평균 66만8,896원이었다. 평균시급을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8,840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충청(8,783원) △경기(8,671원) △경북(8,628원) △경남(8,513원) △인천(8,492원) △전라(8,438원) 순으로 나타났다.주간 평균 근로시간은 19.4시간으로, 인천이 평균 23.6시간으로 가장 긴 시간 일한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기(19.8시간) △서울(19.3시간) △경북(19.2시간) △충청(18.8시간) △경남(18.8시간) △전라(18.1) 순으로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은 66만8,896원으로 △인천(77만6,543원) △충청(69만7,006원) △경기(68만2,197원) △서울(66만7,496원) △경북(65만8,354원) △경남(64만7,040원) △전라(60만1,361원)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평균 시급을
국내 경제 암울... '사업생산증가율', '설비투지지수', '실업률', '무역수지' 호전될 가망 없어... KDI 8월 경제동향에 따르면, 산업생산은 전년대비 2016년에는 3.0%를 기록한 이후 성장률이 계속 하락 추세에 있어, 2017년 2.3%성장2018년은 전년대비 2,3% 성장2018년은 1.4% 성장2019년 1/4분기 평균▼마이너스(-) 0.6% 성장, 2/4분기 평균△0.3% 미세한 증가했으며, 이를 5,6월 분리해서 보면 2019.5월은△1.1% 소폭 증가했으나2019.6월은 ▼마이너스(-) 11.1% 성장을보여 국내 산업생산 실적이갈수록나빠지고 있다고 발표했다. 특히, 국내 경기성장에 가장 기본적인 설비투자지수는 2016년 ▼ 1.3%마이너스(-) 증가한 이래, 2017년은 △14.5%증가를 기록해 다소 경기 회복세를 보였으나, 2018년은 ▼3.5%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 섰고,2019년 1/4분기는 ▼19.8% 마이너스(-) 성장으로대폭 떨어졌고2/4분기는 ▼8.8% 마이너스(-) 성장했다. 이를 월별 지수로 보면 2019.5월은 ▽10.4% 마이너스(-) 성장, 2019.6.월도9.3%의 마이너스(-) 성장을 보여 향후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