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초등과학교육 제43권 제4호에 게재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논변 생성 수업 적용(학생의 자기 주도적 수업)이 과학적 의문생성력을 높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과학적 의문생성력 효과에 대해 학생의 과학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학생들이 지식이 많은 학생들보다 질문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논변 생성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학업 성취도와는 관계가 없으며, 과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논변생성 수업은 학생들에게 과학에 대한 의문점은 주고 있지만, 요즘 진보 교육감들이 주장하는 상호작용 수업(자기주도적 수업)이 과학과목 학업성취도나 과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비효율적 수업 방법인 것으로 밝혀 졌다.
따라서 전통적인 학습방법인 과학지식의 교육과 이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만이 초등학교에서 과학수업이 학생들을 위한 교육방법이라고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