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9 (화)

  • 맑음파주 15.0℃
  • 맑음서울 16.4℃
  • 맑음인천 14.7℃
  • 맑음원주 15.2℃
  • 맑음수원 15.6℃
  • 맑음청주 14.8℃
  • 맑음대전 15.8℃
  • 맑음대구 15.9℃
  • 맑음전주 15.0℃
  • 맑음울산 15.1℃
  • 맑음창원 17.1℃
  • 맑음광주 14.9℃
  • 맑음부산 16.2℃
  • 맑음목포 14.5℃
  • 맑음제주 15.9℃
  • 맑음천안 14.7℃
  • 맑음경주시 16.4℃
기상청 제공

이슈

"학생수 대폭 감소하는데 교원수는 대폭 늘리는 해괴한 교육부 정책"

교원 1인당 학생수는 2010년 19.1명에서 2020년 12.1명으로 대폭 감소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은 2010년 7,971,998명에서 매년 지속적으로 줄어 2020년에는 5,397,476명으로 2010년 대비 물경 67.7% 감소했다.  반면에 교원은 2010년 419,446명에서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에는 2010년 대비 6.0% 증가했다. 즉 학생수는 대폭 줄어드는데, 국민의 세금이 전액 들어가는 교원의 수는 매년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생 증가율과 교원 증가율의 격차분석은 학생 증가율에 비례하여 교원은 얼마나 증가했는 가를 보여 주는 지표다. 2011년에는 그 격차가 15.0%, 2012년 18.5%, 2013년 22.3%, 2014년 27.5%, 2016년 30.1%, 2017년 32.1%, 2018년 34.2%, 2019년 36.6%, 2020년 38.3%로 나타났다.

 

즉 학생수는 대폭 감소하는 데 비해, 교원수는 대폭 증가함을 의미하고 있으며, 교육부(유은혜장관)의 교원정책이 학생 수 감소를 전혀 감안하지 않는 비상식적인 정책을 수행함을 의미하고 있다.  

 

 

초·중·고 학교의 교원1인 당 학생수는 ▲2010년 19.0명, ▲2011년 16.2명, ▲2012년 15.6명, ▲2014년 14.4명, ▲2015년 13.5명, ▲2017년 13.2명, ▲2018년 12.8명, ▲2019년 12.4명 ▲2020년은 12.1명 매년 지속적으로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수증가 #학생수감소 #교원1인당 학생수 #초·중·고 #교육부 #교원정책 #유은혜장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