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진보 시민단체가 "행복한 국가"로 평가하는 「네팔」과 「부탄」은 순위에도 없어... US News & World Report에 의하면 2019년 "여성을 위한 국가"에서 우리나라는 조사된 전세계 80개국 중 28위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전세계 8,000명을 대상으로 여성과 남성을 차별하지 않은 평등 특성인'인권보호', '성 평등', '소득', '안전', '제도' 등 5가지차원으로 구분해서 조사하였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여성을 위한 국가" ▲세계 1위는 ▲스웨덴, 2위는 덴마크, ▲3위 카나다, ▲4위 노르웨이, ▲5위 네덜란드 ▲6위 핀란드 ▲7위 스위스 ▲8위 호주 ▲9위 뉴질란드 ▲10위 독일 ▲11위 룩셈부르크 ▲12위 벨기에 ▲13위 영국 ▲14위 프랑스 ▲15위 아일랜드 ▲16위 미국 ▲17위 이탈리아 ▲18위 일본 ▲19위 스페인 ▲20위 포루트갈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시아권 나라에서는 ▲1위가 일본(세계 18위), ▲2위 싱가폴(세계 21위), ▲3위중국(세계 26위), ▲4위대한민국(세계 28위), ▲5위태국(세계 42위), ▲6위 베트남(세계 46위), ▲7위 말레이시아(세계 49위), ▲8위 필리핀(세계 55위,
외교부 통계에 의하면, 2018년 대한민국에서 해외로 이주한 해외이민자는 879명으로 전년대비 6.5%로 증가, 2017년에는 2016년 대비 8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해외 이민자는 총 6,316명이며, 2009년 1,153명에서 2015년까지 계속 감소하다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나타났다.(해외공관 신고 집계제외) 2017년 해외이민자의 분포를 보면, ▲연고이주가 467명(56.5%), ▲무연고이주 365명(43.5%)로 연고 이주 비율이 13% 더 많았으며, 2018년에는 ▲연고이주가 619명(70.4%) ▲무연고이주가 260명(29.6%)로 연고이주비율이 2017년 대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연고이주자중 이민 사유를보면, ▲취업이 251명(68.8%), ▲독립이민이 58명(15.9%) ▲사업상이 26명(7.1%) ▲기타 21(5.8%)명의 분포를 보이고 있으나, 2018년에는 ▲취업이 173명(66.5%), ▲독립이민이 66명(25.3%), ▲사업이 21명(8.1%), 기타가 0명으로 주로 국내경기 불황이 따른 경제적 이유로 해외이민을 간 것으로 분석된다. #대한민국탈출 #해외이민 #외
지난 12일 『공익희생자 지원센터』에서 "그대 고마워요"라는 제목의 출판기념회를 열었다. 이 책은 대학생 12명으로 구성된 공익희생자지원센터 '휴먼북 집필단'이 참여했으며, 국민의 안전과 행복을 위해 헌신적으로 활동하고 있거나 혹은 활동 중 순직한 공익직무종사자들을 기억하기 위해 집필되었고 한다. '휴먼북집필단'은 이 책을 쓰기위해 지난 약 5개월 동안 글쓰기와 인터뷰 훈련도 받았으며, 대학생 2명 당 한 팀이 되어 공익직무종사자 1~3명을 각각 인터뷰해 그들의 이야기를 책에 담았다. 인터뷰 대상자로는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고 한상국 상사의 아내 김한나씨, ▲천안함 생존자이자 현재 천안함생존자 예비역전우회 회장으로 있는 전준영씨, ▲이정희 영주소방서 현장대응단 지휘팀장, ▲진남진 문경경찰서 보안계장, ▲최성철 국가인명구조견센터 센터장, ▲박형진 국가인명구조견센터 훈련관, ▲박해영 중앙119구조본부 핸들러, 그리고 ▲중앙119구조본부 기획협력과에 있는 최현원 소방경 등 8명이 인터뷰에 적극 참여해 주었다. 책 출판기념회는 10월 12일 15시 '디어라이프 북카페'에서 진행되었다. 이 날 기념회에는 정은애 익산소방서 인화119안전센터 센터장이 특별 강연을 해
<글로벌 30위 Best 국가 종합 순위> 순위 국가 인구 (백만) 1인당 GDP($) 순위 국가 인구 (백만) 1인당 GDP($) 순위 국가 인구 (백만) 1인당 GDP($) 1 스위스 8.5 62,125 11 네덜란드 17.1 53,933 21 아일랜드 4.8 73,215 2 일본 126.8 42,942 12 뉴질랜드 4.8 39,012 22 대한민국 51.5 39,548 3 캐나다
대학 단체인트루스포럼의 서울대 지부가 오세정 서울대 총장에게 조국 법무부 장관의 서울대 교수직 파면을 촉구하는 대자보를 10일 게재했다. 서울대 트루스포럼은3가지 이유를 들어 조 장관의 교수직 파면을 촉구했다. 첫째 이유로"조국 교수는인사청문회에서 무수한 거짓말을 했다"는 점을 들었다. 서울대 트루스포럼은 이를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거짓말을 빈번하게 자행했다"고 봤고, 조 장관의 교수직이 유지된다면 "서울대는 국민의 신뢰를 잃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둘째는 "견해가 다른 사람들을 객관적 증거 없이 모두 극우, 친일파로 매도"했다는 점을 들었다. 조 장관은 서울대 트루스포럼이 8월 2일 조 장관의 과거 폴리페서 비난 발언에 책임을 촉구하는 대자보를 붙인 것에 대해 『극우』라 지칭한 바 있다.또한 조 장관은 대법원의 징용 판결을 비판하는 사람들을7월 20일 SNS를 통해『친일파』로 규정한 바 있다. 이에 트루스포럼은 "자신의 과거 발언에 대해 책임을 묻는 학생들을 『극우』로 매도하고 학술적으로도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는 이슈에대해자신의의견과 다른 사람들을 모두 『친일파』로 매도하는 것은 후학들을 가르치는교육자의 자세에 적합하지 않다"고
패미니즘 세계 20위 국가 순위 국가 점수 순위 국가 점수 1 스웨덴(유럽) 5 11 에스토니아(유럽) 30 2 노르웨이(유럽) 8 12 포르투갈(유럽) 31 3 라트비아(유럽) 9 13 태국(아시아) 34 4 네덜란드(유럽) 14 14 러시아(유라시아) 36 5 덴마크(유럽) 16 15 과테말라(중남미) 37 6 리투아니아(유럽) 19 15
MBC <뉴스데스크>는 28일 '주최 측 추산 1백만 명 모여'라는 제목으로 집회를 보도했다. 다음 날에는 참가자 수를 두 배 늘려 '200만명이 모였다'는 주최 측 주장을 보도했다. MBC 보도국장도 라디오에 출연해 '느낌'으로 100만이라고 했다. KBS도 저녁 뉴스에서 "주최 측 추산 100만명이 모였다"고 보도하고 자막까지 띄웠다. 29일 뉴스에서는 두 배로 뛰어 "200만명이 모였다"고 했다. 기자가 "발 디딜 틈 없이 인파가 가득 찼다" "수많은 인파가 도로를 메웠다"란 느낌을 전한 뒤 주최 측을 인용해 200만명이라 했다. KBS에 MBC가 참가자 수 방송을사전에 조율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서울교통공사 집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서초·교대역에 내린 승객은 10만 명으로 평소보다 8만 명 많았다고 한다. 같은 장소에서 열린 '서리풀 축제' 참가자를 포함한 숫자이다. 본 보는 네이버 지도를 통해 이날 집회가 열린 서초대로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KBS와 MBC가 보도한 집회 현장을 참고하여 서울중앙지검을 기준으로 남북의 도로 면적을 측정하니 39,923㎡였다. 1㎡ 면적에 최소 2명 최대 3명을 계산하면 최소 79,846명에서 최
대한민국에서 진행되는 정치 세력 간의 대결을 보면 '산업화 세력 vs 민주화 세력'의 구도인 양 이어져 왔다. 어느 세력을 어떻게 평가하는가의 문제를 떠나참 안타까운 것은,대한민국의 건국 세력에 대해서는 공론화가 많이 되지 못해 왔다는 점이다. 그 시작은 대한민국 건국역사를 서술하는 것에서 드러난다. 역사는 정치가 아니다. 역사를 평가함에 있어서는 개인의 정치관이 개입될 수 있지만, 역사를 드러낼 때는 진실만이 살아남아야 한다. 오직 진실만이 역사 서술의 기반이 되어야 한다. 진실이 정치화되면 거짓과 정치만 남는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대한민국 건국사는 상당 부분 정치화되었다. 역사 교과서에서는'건국'이라는 용어도 안 쓰고,심지어그 시기의 역사를 많이 서술하지도 않는다. 그나마 서술하는 것 조차도 상당 부분 거짓으로 왜곡되어 있다. 과연 한 국가에 살아가는 국민으로서 이게 타당한 일일까? 나라가 어떻게 발전해왔는가에 대해서는 많이 배우면서 그 뿌리가 어떻게 되는지는 제대로 배우지 않는 것이 올바른일인가? 그나마 가르치는것 조차 상당 부분 거짓인 것은 과연 정상인가? 뿌리가올바로정리되어 있지 않으면 방향이 바로 잡힐 수 없다. 속력이 아무리 빨라도 무용지물이